부동산 용어 PIR지수, 한국 서울 내집마련 기간, 소득대비 집값 pir
생애최초 내집마련 주택구입과 관련하여 신문이나 기사를 보다 보면, 자주 접하게 되는 부동산 용어 중 하나가 PIR이다. PIR지수는 현재 주택의 가격이 적정한 것인지, 또는 주택가격에 거품은 없는지 등을 판단할 대 활용되는 지표이다. PIR 지수란? 한 가구에서 연평균 수입으로 주택을 매수할 때 소요되는 기간을 의미한다. 여기서 말하는 연평균 수입은 대출과 지출은 포함하지 않은 오직 총수입을 말한다. 따라서 벌은 돈에서 한 푼도 소비하지 않고, 그대로 저축만해서 집을 사기까지 걸리냐는 것을 계산하는 방식이다. 그러므로 PIR지수와 실제 집을 구입하기까지의 기간과의 차이는 크다. OECD국가 대부분은 국가평균 PIR지수가 10을 넘어가지만, 우리나라는 전국 평균 PIR지수가 약 6이다. 현재 부동산을 포함..
부동산
2024. 1. 19. 16:06